카페 창업하시는분들! 준비 모하셨어요? 다들 하지 말라고 하시져?

"그냥 카페야." – 너무 많아진 카페들의 정체불명

2025년 현재, 대한민국 어디를 가도 보이는 건 카페다.
‘한 건물에 두 개의 카페가 있는 세상’,
‘도보 5분 이내에 스타벅스 + 블루보틀 + 테라로사 + 개인카페’가 존재하는 상황.
이제는 커피 맛이나 인테리어 예쁨 정도로는 아무도 놀라지 않다.

 

왜 그렇게 되었는가?

  1. ‘브랜딩’보다 ‘창업’이 앞섰기 때문
    • 많은 카페 창업이 브랜드가 아닌 상품 판매 공간으로 시작됨
    • ‘커피를 잘 판다’보다 ‘매출이 잘 나온다’가 기준이 되어, 창의성이 배제됨
  2. ‘감성’이라는 이름의 대량복제
    •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에서 본 ‘잘 나온’ 인테리어를 그대로 카피
    • 결국 차별점 없는 그저 그런 감성카페가 무한복제됨
  3. 콘셉트를 소비자가 이해하지 못함
    • 브랜딩 없는 스토리텔링은 소비자에게 혼란만 줌
    • “고급스럽다”는 말이 끝이 되어, 아무도 그 안에 철학이나 가치관을 담지 않음

 

 

요즘 창업자들, 심지어 마케팅 에이전시조차도 브랜딩 = 네이밍 + 로고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디자이너에게 요청해서 예쁜 심볼과 폰트를 뽑아내면, 마치 브랜드가 완성된 듯한 착각.
그런데 말입니다,,,
그 로고가 소비자의 기억에 남지 않고,
그 이름이 브랜드 철학을 품지 못하면,
그건 그냥 벡터 파일 하나 만든 거에 불과하다.

 

 

요즘 브랜딩 한다는 사람들, 정작 브랜드는 만들지 않는다.
그저 이름 하나 예쁘게 짓고, 로고 파일 하나 만들고, 그걸로 끝난다고 착각하죠.
그게 ‘브랜딩’이라고?
그건 마치, 병원 간판 걸어놓고 의사도 없고 진료도 없는 병원이나 다름없다.

 

 

 

  • 창업 초보자들: "브랜딩 좀 하고 시작해야지"라며 로고부터 의뢰
  • 마케팅 회사: 로고 + 명함 + 색상 매뉴얼 = 브랜딩 패키지라고 홍보
  • 디자이너: “브랜딩 작업했습니다”라며 로고 PDF 파일 보내고 끝
  • 인플루언서 창업자: “저희 브랜드 BI입니다~”라며 인스타에 올리고는 한 달 뒤엔 이름 바꾸고 새 로고로 교체

이게.... 모야... 

 

요즘 세상에 돈이면 모든지 된다지만... 정성이 1도 없잖아...

 

언제, 왜 이런 현상이 생겼나?

  • 브랜딩이라는 단어가 유행이 되면서, 본질은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은 것
  • 과거에는 브랜드란 ‘오랜 시간’과 ‘깊은 전략’으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디자인 툴 몇 개와 로고 사이트 하나면 누구나 "브랜딩 했다"고 말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
  •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소비자도 이걸 분간 못한다는 점.
    로고가 예쁘면 "오! 감각적이야"라고 말하지만, 그게 진짜 브랜드인지, 그냥 껍데기인지는 대부분 모른다.

그래서, 진짜 브랜딩은 무엇인가?

1. 브랜드의 철학과 존재 이유 정의하기

“우리는 왜 이걸 하느냐?”
“이 브랜드는 어떤 태도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것인가?”
→ 철학 없이 만든 로고는 아무 힘이 없습니다.

2. 브랜드의 언어 만들기

어떤 말투로, 어떤 용어로, 어떤 문장을 쓰는가
→ 브랜드는 로고보다 말투가 먼저 기억됩니다.

3. 소비자가 체험하는 '일관된 경험' 설계하기

커피 한 잔, 메뉴판, 직원의 말투, 포장지까지
→ 이 모든 요소가 하나의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해야 진짜 브랜딩입니다.

4. 지속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시스템 만들기

브랜드는 단발 이벤트가 아니라, 시간이 흐르며 스스로 진화해야 함
→ 정체성은 지키면서, 매체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함

 

 

답은 창업자분이 찾으세요! 노력을 해야죠!

어떻게 해야 특별해질 수 있을까?

  1. ‘왜 이 공간이 존재하는가’를 먼저 정하라.
    • 단순히 ‘커피를 판다’가 아니라 ‘어떤 태도로 커피를 해석할 것인가’가 중요
    • 예: COFFEEPHARM처럼 약학적 실험정신으로 커피를 다룬다는 명확한 철학
  2. 브랜드의 언어를 만들라.
    • ‘스페셜티’ 대신 ‘이 커피는 어디서 왔고, 왜 이 방식으로 내렸는가’까지 말해주는 메뉴
    • ‘깔끔한 인테리어’ 대신 ‘실험실의 냉정함을 모티브로 만든 조명’이라는 설명이 필요
  3. 희소성 있는 경험을 설계하라.
    • 메뉴가 특별해야 한다기보다, 커피를 대하는 태도가 남다른 공간이 돼야 함
    • 체험, 소통, 기록 가능한 ‘브랜드적 체험 공간’이 되어야 기억된다

예시: COFFEEPHARM은 왜 다를까?

커피팜은
단순히 예쁜 이름과 로고로 끝나지 않았다.

  • “약은 약사에게, 커피는 커피팜에게”라는 문장은 브랜드 철학이자 태도다.
  • QC LAB이라는 실험실 개념은 브랜드 스토리를 설계하는 시스템이고,
  • 피펫 볼펜 굿즈, 실험실 유니폼, 시약병 같은 요소들은 그 철학이 물리적으로 구현된 장치이다.
  •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창업자의 과거 경력과 태도까지 브랜드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

COFFEEPHARM은 철학 → 시각 언어 → 소비자 경험 → 시스템으로 이어지는
진짜 브랜드의 모습을 보여주는 드문 예시다.

이렇게 해볼까? 저렇게 해볼까? 맨날 생각한다.

 

 

이름 짓고 로고 만들면 브랜드가 된다고요?
그건 화장을 했다고 인생이 바뀌는 줄 아는 것과 같다.

브랜딩은 얼굴이 아니라 존재 자체를 새롭게 설계하는 일이다.
당신이 만드는 그 브랜드,
진짜로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그 말이 소비자의 가슴에 박히기 전까지,
당신의 브랜드는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지금의 카페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다.
그리고 그 안에서 “비슷한 디자인, 비슷한 원두, 비슷한 스토리 없는 스페셜티 커피”만 넘쳐나죠.

하지만 소비자는 이제 진짜 브랜드, 진짜 이야기, 진짜 철학을 원한다.
“그냥 카페”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왜 이 공간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카페만이 살아남는다.

COFFEEPHARM은 그 질문에 가장 명확하게, 그리고 당당하게 답하는 예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야말로,
당신의 말처럼
“카페는 어디에나 있지만, 커피팜은 한 곳뿐이다.”
이 한 줄이 더 강력하게 다가오는 시대다.

 

 

728x90